보험이나 복지 등에서 병원을 1차에서 3차까지 나눠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병원을 나누는 기준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어떤 병원을 찾아가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내용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차 2차 3차 병원 기준과 차이점
1차는 간단하게 여러분 동네에 있는 동네병원입니다. 보통 병상수가 30개 미만인 병원을 의원이라고 하죠. 1차는 사실 누가봐도 간단한 동네병원이구나 싶은 곳이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습니다.
2차부터는 종합병원에 해당합니다. 1차 병원인 의원은 대부분 특정 진료과목만 진료합니다. 종합병원부터는 다양한 전문의가 근무하여 여러 진료과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준은 100개 이상의 병상이 있어야하며 진료과목도 7개 이상이여야 합니다. 당연히 각 진료과목마다 전문의가 배치되어야 합니다.
대학병원은 아닌데 조금 큰 종합병원들이 해당합니다.
3차 병원은 상급종합병원으로 20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과목마다 전문의가 있어야합니다. 또한, 전문의를 수련할 수 있는 기관이여야 합니다. 당연하게도 이에 맞는 시설과 인력 장비를 갖춰야합니다. 중요한건 그냥 조건만 맞추면 3차병원이 아니라 보건복지부에서 3년마다 평가하여 3차병원으로 지정을 받아야 합니다.
복지부에서 지정받지 못하면 3차 상급종합병원 급의 규모라도 2차 병원인 종합병원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대부분의 대학병원은 3차 상급종합병원입니다.
기준을 정리해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1차병원 – 병상수 30개 미만이며 진료과목이 7개 미만 ( 보통 1 ~ 2개 ) 으로 흔히 동네 병원
2차병원 – 종합병원으로 100개 이상의 병상수가 있으며 진료과목 7개 이상 + 과목별 전문의 배치
3차병원 – 상급종합병원으로 20개 이상의 진료과목 (과목별 전문의 배치필수 )보유, 전문의 수련 기관이며 보건복지부의 평가를 받아 3차 병원으로 지정받은 곳
세세한 차이점이 있다면 비용 부분은 1차 2차 3차 순서로 비싸지며 규모와 시설이 커지는만큼 의료장비도 더 많으니 MRI같은 장비도 2차 이상부터 있습니다.
이렇게 병원을 나누는 가장 큰 이유는 3차 병원으로 환자가 쏠리는걸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우리 모두 그래도 대학병원이 가장 믿음직하고 확실하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근데 단순 감기만 걸려도 대학병원을 간다면 정말 치료가 급한 중증 환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병원을 나눠도 여전히 대학병원에 진료받고 수술을 받는데 시간이 꽤 걸리니 말이죠.
각 병원 찾는 방법
이번에는 각 병원들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검색방식은 1,2,3 차 병원이 주변에 어디에 있는지 혹은 내가 가려는 병원이 몇 차 병원인지 알아보는 방식이 있습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 https://www.hira.or.kr/main.do 사이트 접속
- 의료정보 메뉴에서 병원 찾기 클릭
- 검색창에 자신이 가고자하는 병원 검색
주변 병원을 검색하고 싶으시다면 왼쪽 메뉴에서 병원 약국 종류별 찾기 탭 혹은 우리지역 좋은병원 찾기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하셨을 때 의원이라고 분류된 병원은 1차병원, 병원은 2차병원, 상급종합은 3차병원으로 보시면 됩니다.
병원을 나누는 기준과 차이점 그리고 찾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잘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