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은 집에서 가능한 건전한 취미입니다. 게임을 좋아하지만 유독 3D게임 멀미 때문에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3D 게임 멀미
3D 게임 멀미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PC 게임 혹은 플스와 같은 콘솔게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특히 1인칭 시점의 게임에서 심해지죠. 1인칭 게임을하다 보면 점점 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고 속도 안좋아지면서 몸이 상당히 안좋아집니다. 이것이 3D 게임 멀미 입니다.
원인은?
그렇다면 원인은 무엇일까요? 사실 3D 게임 멀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원인과 해결방법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주력원인은 플레이하는 캐릭터와 자신의 행동부조화입니다.
쉽게 캐릭터가 왼쪽을 보며 점프를하는데 자신은 가만히 그저 콘솔을 조종하고 있죠. 뇌는 게임에 몰입하여 우리가 보는 캐릭터에 몰입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몸은 움직이지 않으니 시각정보(캐릭터)와 실제 신체 평형감각(자신)이 일치하지않는 것이죠.
이러한 인지부조화가 일어나면서 멀미가 나는 것입니다. 더불어 자신의 개인적인 상태에 따라서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몸 상태가 좋지않다면 당연히 더욱 심해집니다.
저의 경우 게임을 하면서 막힐 때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을 때 스트레스가 오면서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해결방법은?
해결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있습니다. 프레임, 해상도 등을 조절하거나 과도한 이펙트효과들을 없애거나 하는 등의 방식이죠. 이런 방법으로 해결된다면 다행이지만 저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이 방법이 통하시는 분들은 원래 없는데 특정 게임에서만 그런다거나 모니터를 바꿨더니 생기신 분들에게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기술적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렇지만 게임이 좋아서 저는 계속했습니다. 그랬더니 상태가 좋아졌습니다.
그 때 느낀 점은 그냥 계속해서 적응하게 만드는 방법뿐이구나 싶었습니다. 물론 3D 게임 멀미가 없는 사람처럼은 불가능했지만 몇 시간을 하더라도 예전처럼 심하게 멀미가 오지않았을 뿐 입니다.
중간중간 쉬어주면서 계속하다 보면 충분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정도로 상태가 호전된다는 것이 저의 결론입니다. 여러분도 힘드시겠지만 멀미가 심해지면 조금씩 쉬고 다시 해보고 하시면서 내성을 기르는 방법뿐입니다. 계속 해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3D 게임 멀미가 무엇이고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야기드렸습니다. 극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